![]() |
▲ 사진=코로나 이전 롯데면세점 호주공항점 전경 |
롯데면세점은 지난 6월 21일 호주 현지법인을 이용한 우리 국민이 ‘건강식품’을 해외직구 할 수 있는 비즈니스 모델을 새롭게 선보였다. 면세점은 외국에서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이 주 타킷 고객이다. 여기에 해외로 출국하는 내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면세혜택을 제공했다. 그 모델에 대한 기본 개념이 바뀌기 시작한 것이다. 원인은 코로나 때문이다. 한국을 방문하는 해외 관광객 발길이 끊긴지 1년 반이 넘었다. 언제 정상화 될지 모르는 상황에서 마냥 기다릴 수 만은 없다는 절박한 심정에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도입된 것이다.
![]() |
▲ 인포그래픽=최동원기자 제작 / 롯데면세점 해외진출 현황 |
코로나 이전 우리 기업들은 세계시장점유율 1위를 기록하며 활발하게 해외로 진출했다. 그 시발점은 롯데면세점의 2013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및 괌공항 면세점 진출이다. 미국령인 괌공항은 롯데 진출이전에는 미국 면세기업인 DFS의 텃밭이었다. 이후에도 롯데면세점은 일본 간사이 공항점 진출(2014년9월), 일본 도쿄 시내면세점 진출(2016년 3월), 태국 방콕 시내면세점 합작사(2017년 6월), 베트남 공항 및 시내면세점 진출(2017년 11월), 호주 및 뉴질랜드 진출(2019년), 싱가포르 창이공항 진출 등 아시아-태평양 주요 국가의 면세시장에 깃발을 꼽고 운영을 시작했다.
그러나 누구도 예측하지 못한 코로나 대유행으로 세계의 공항이 발이 꽁꽁 묶이며 면세업계에 대 암흑기가 도래한다. 이 기간 국내 면세업계에는 관세청이 품목별 구매수량 제한 해제 및 ‘제3자 반송’ 허용, 그리고 재고물품의 내수통관을 통한 내국인 판매 허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업계를 지원해 줬다. 그러나 이미 해외에 진출했던 각국의 지사들은 올 스톱 상황에 빠져 롯데면세점 관계자들은 기존 면세점 비즈니스 모델로는 포스트 코로나 시기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어렵다는 판단하에 새로운 모델을 도입했다. 바로 ‘해외직구’를 위한 LDF BUY 모델이다.
![]() |
▲ 사진=롯데면세점 제공 / LDF BUY를 통해 판매중인 호주 직구 가능 헬씨케어 프로폴리스 상품 |
롯데면세점 글로벌사업본부 오필훈 CBE팀장은 “‘해외직구’ 사업의 도입 배경으로 해외 거점을 적극적으로 이용해 해외지점을 살려야 한다는 취지로 시작했다”며 “방법과 형식에 따른 여러 가지 방안을 고려해 우선 1단계로 해외에 직접 진출한 롯데면세점 지점을 이용해 국내 소비자들이 해외직구를 할 수 있다면 새로운 방안이 될 것으로 생각했다”고 구체적인 도입 취지를 설명했다. 오 팀장은 “화장품이나 부틱 상품의 경우 신고필증을 비롯해 다양한 부분에서 제약조건도 많고 또 해외 브랜드 사들과 협상과정에도 시간이 걸려 빠르게 도입가능한 부분부터 접근한 모델”이라며 “면세산업의 특징을 살린 위기 극복방안 중 하나로 국내 매장에 국한된 게 아니라 해외 매장과의 연계성을 통한 위기극복 방안”이라고 덧붙였다.
![]() |
▲ 사진=롯데면세점 제공 / LDF BUY를 통해 판매중인 호주 직구 가능 닥터내추럴 브리조인트슬 상품 |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체댓글수 0
[초점] 면세점 송객수수료, 2022년 7조 원 넘게 퍼줘
[분석] 면세점 대량판매, 영업이익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 끼쳐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