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청장 임재현)은 22일 “오는 7월 1일부터 우리 국민의 해외직구시 구매대행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와 국내 소비자 보호를 위해 구매대행업체 등록제를 시행한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던 상황에서 코로나19로 해외직구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왔다.
관세청 통관국 전자상거래통관과 김기동 과장은 “관세청이 집계한 통계로 지난 2017년 2,359만2천 건, 18년 3,226만6천 건, 19년 4,299만4천 건, 20년 6,357만8천 건, 올해 4월까지 2,671만5천 건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해외직구 시장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구매대행업체에 대한 관리 기준이 없어 정확한 규모 파악도 어려웠다”고 전했다. 또 김 과장은 “구매대행업체가 통관단계에서 구매자가 부담한 관·부가세를 탈루하고 저가 신고를 하거나 간이통관 절차인 목록통관에 해당하지 않는 물품을 구매자에게 알리지 않고 목록통관으로 처리하는 등의 불법 통관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해 국내 소비자 보호의 사각지대”가 있다고 언급했다.
주변국은 물론 국내에서도 코로나로 인해 소비행태가 온라인으로 급격히 무게중심이 이동되고 해외직구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시점에서 관세청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 규모 이상의 구매대행업체에 대해 등록을 의무화하는 법 조항을 관세법제222조 제1항 제7호(19.12.31)와 관세법 시행령 제231조 제1항(21.2.17)을 신설해 세부 절차 등을 마련한 후 오는 7월부터 공식 시행한다. 그동안 해외직구 관련해서는 개인소비 목적으로 직구한 물품을 온라인으로 되파는 경우 처벌되는 사항과 연간 해외직구 한도 설정 이슈들이 주목을 받았었다. 그러나 이제 관세청이 본격적으로 구매대행업자의 등록을 통해 관리하면 다소 보완 될 것으로 예측된다.
▲ 사진=관세청 제공 / 구매대행업자 등록 주요 통관지 세관 연락처(21.06.22) |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체댓글수 0
[초점] 면세점 송객수수료, 2022년 7조 원 넘게 퍼줘
[분석] 면세점 대량판매, 영업이익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 끼쳐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