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노선 축소 돌입하는 지방공항, 대책방안 모색에 난항

국내 지방 공항들 일본 여객 증가와 함께 성장해
일본 수요 줄어들면서 김해·대구공항 타격 예상
중국 신규 취항·증편 금지로 노선 다변화 전략에 난항
기사입력 : 2019-08-16 09:40:42 최종수정 : 2020-09-09 21: 19 김효원 기자
  • 인쇄
  • +
  • -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로 인한 한·일 항공수요 감소가 장기화 국면으로 들어감에 따라 지방공항이 일본 노선 축소를 비롯해 대응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지방공항은 국제선 내 일본 노선이 주를 이뤘던만큼 그 타격이 더욱 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국공항공사(이하 공사, 사장 손창완)에서 운영하는 7개의 국제공항(김포, 김해, 제주, 청주, 대구, 무안, 양양) 내 국제여객 43%는 한·일 노선이다. 일본행 비행기는 최근 5년간 연평균 15.8%씩 늘어나면서 지방공항의 이용객 역시 덩달아 늘었다.
 

▲도표=김효원 기자

 

공사 통계를 통해 확인한 김해·대구·무안공항의 전체 국제선 여객수 대비 일본 노선 여객수는 김해공항은 평균 36% 이상, 대구공항은 47% 이상, 무안공항은 24% 이상을 차지했다. 일본 여객 비율이 높은 공항일수록 일본 수요 감축에 따른 타격이 클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인 국제선 여객수를 확인해 보았다. 김해공항의 경우 2016년부터 2018년까지 연간 총 여객수는 777만 명에서 986만 명으로 약 26% 성장했고, 이중 일본 여객수는 2016년 286만 명에서 2018년 369만 명으로 29% 성장했다.

대구공항 여객수는 2016년 34만 명에서 2018년 204만 명으로 492%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일본 여객수는 2016년 11만 명에서 2018년 106만 명으로 847% 증가해 대구공항의 전체 여객수 증가를 끌어올렸다.

무안공항은 2016년 19만 명 여객수가 2018년 32만 명으로 오르며 67% 성장했으나 일본 여객수는 2016년 1만2,699명이 2018년 9만8,428명으로 껑충 뛰어오르며 675% 증가했다. 통계에서 드러나듯, 지방공항은 일본 여객수 증가와 함께 성장해왔다.

그러나 일본 불매운동의 움직임이 시작된 2019년 7월을 기점으로 지방공항의 일본 여객 증감률이 꺾이기 시작했다.

일본 여객의 감소세는 7월 중순부터 공사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7월 3주차부터 7개 지방공항의 일본노선 여객증감률이 감소세(-1.3%)로 전환됐으며, 7월 5주차부터는 전년대비 1만4,000명 감소(-8.5%)하며 여객 감소폭이 더욱 커졌다.

일자별 통계를 보면 실제 7월 말로 향할수록 일본행 관광객 수가 줄어들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공사 통계에 따르면 7개 국제공항의 29일 일본행 승객은 2만 1,896명으로 전년 같은기간 2만4,444명보다 10% 감소했고, 30일 2만1,137명(6.6% 하락), 31일 2만 3,169명(31% 하락)으로 집계됐다.
 

▲표=김효원 기자

 

일본행 여객 감소는 향후에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방문 내국인 여행수요가 많았던 김해, 대구, 무안, 청주공항의 국적항공사 일본노선 감편과 운휴가 예정되있기 때문이다.

대형항공사 FSC(Full Service Carrier)인 대한항공은 주 3회 부산-삿포로 노선을 다음 달 3일부터 운항 중단했으며, 아시아나는 부산-오키나와 주 3회 운항 노선을 오는 23일부터 중단한다.

반면 지방공항 내 운항이 많은 저가항공사 LCC(Low-cost carrier) 역시 중단은 물론, 감편 및 운휴할 계획이다.

부산을 거점으로 하는 에어부산은 이달 25일부터 김해-후쿠오카 노선은 주 28회에서 14회(50% 감소)로 축소한다. 또한 김해-오사카 노선 역시 27일부터 주 21회부터 14회(33% 감소)로 감편한다. 또한 대구 출발 일본 노선을 다음 달부터 감편 또는 비운항할 계획이다.

 

▲사진=한국공항공사 / 비상대책TF 회의 현장


한편, 지방공항을 통합 관리하고 있는 한국공항공사는 종합적인 대책 마련에 나섰다. 공사는 지난 12일 항공사업본부장을 팀장으로 7개 국제공항 지역본부장과 지사장이 현장 대응반장을 맡는 비상대책TF팀을 구성했다.

비상대책팀은 항공사, 여행사 등 유관기관과의 공동대응으로 중화권·동남아 등 대체노선을 개발하고, 제주노선 내수전환, 국내외 여객유치를 위한 프로모션 등을 다각적인 방법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중화권·동남아 등 대체노선을 개발하겠다는 계획은 곧바로 난항에 부딪혔다. 지난 14일, 중국 민항총국(CAAC)에서 국내 항공사들에 10월 10일까지 중국 전 노선에 대해 신규 취항, 정규 및 임시 증편, 부정기편 운항 신청을 거부하기로 통보한 탓이다.

일본행 여객 감소 추세와 더불어 중국 취항 확대가 어려워진 가운데 지방공항의 타격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이며, 공항 및 항공업계의 수익성 악화에 대비한 현명한 해법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태그

댓글쓰기

전체댓글수 0

  • 인사·동정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인사
    ■ 고위공무원 가급 승진 및 전보(2025년 10월 15일자) 관세청 인천공항세관장 박 헌 (朴軒)
  • 인사·동정
    이명구 관세청장,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 간담회 개최
    이명구 관세청장이 10월 1일 제주 컨벤션센터 회의실에서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 면세점, 제주관광공사(JTO) 면세점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갖고 현장을 방문했다.관세청 보세산업지원과 김진선 과장은 “이번 간담회가 제주도를 찾는 관광객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매출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제주도 지정면세점 업계의 현장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지원방안을
  • 특허경쟁
    롯데免 명동점, 5년 특허 갱신 획득
    관세청(청장 이명구)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위원장 순천향대 정병웅 교수)은 9월 23일 천안 관세인재개발원에서 특허심사위원 20명과 ‘제5회 보세판매장 특허심사위원회’를 개최해 “롯데면세점 명동점의 특허갱신 심사를 심의해 갱신을 승인했다”고 밝혔다. 특허심사위원회는 롯데면세점이 신청한 서류를 검토하고 프리젠테이션등 심사 과정을 거쳐 지난 5년간 최초 특

TR&DF 뉴스레터

TR&DF의 심층적인 분석 콘텐츠가
담긴 뉴스레터로 하루를 시작하세요.

TR&DF 뉴스레터
등록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