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면세업계가 ‘코로나19’로 침체에 빠진 오프라인 매장의 돌파구로 인터넷면세점 이벤트 강화 등 새로운 대응책 마련에 나섰으나 큰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국내는 물론 해외 국가 모두 빗장을 걸어잠그면서 해외 여행객 수요 자체가 급감했기 때문이다. 코로나19로 매출은 하락하고 있으나 뾰족한 수가 없는 상황이다.
코로나19 여파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곳은 오프라인 면세점이다. 인천공항이 26일 발표한 자료를 보면 코로나19 팬데믹 선언 이후 인천공항의 여객수요는 전년대비 90% 이상 급감했다. 일일여객은 지난 1월 25일 최초로 전년대비 감소(-16.1%)하기 시작해 2월 넷째주에는 51.1%, 3월 셋째주에는 91.8% 감소했다. 지난 3월 24일에는 인천공항의 하루 이용객이 9,316 명을 기록하며 2001년 개항 이후 처음으로 1만 명 미만으로 내려가 역대 최저 여객을 기록했다.
이와 같은 추세가 이어진다면 올해 인천공항의 연간여객은 전년대비 70% 가량 급감해 손익분기점이 위험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인천공항은 여객이 3천명~7천명 수준일 경우 탑승동 운영을 중단하겠다고 밝혀 사실상 ‘셧다운’ 예비상태에 돌입했다. 세계적으로 위상을 떨치고 있는 인천공항조차 맥을 추리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방공항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현재 김포공항과 김해공항, 제주공항 면세점이 모두 임시휴업 상태다.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도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해외지점도 휴점이 불가피해졌다. 롯데면세점은해외 13개 지점 가운데 베트남 다낭공항·나트랑깜란공항·하노이공항과 호주 캔버라공항·다윈공항, 괌, 일본 시내면세점 등 7곳이 임시휴점했다. 신라면세점도 일본 도쿄에 위치한 타카시마야면세점과 태국 푸켓 시내면세점을 임시 휴업하고, 싱가포르 창이공항점은 항공편 스케줄에 맞춰서 탄력적으로 운영 중이다. 신세계면세점은 단축 영업을 시행한 데 이어 당분간 서울 명동점과 강남점, 부산점을 월 1회 휴점했다.
앞서 신라면세점은 코로나19로 외국인 관광객이 급감하자 지난 2월 17일 신라페이 데이 등 내국인 고객 혜택 확대에 나섰다. 신라페이 데이는 월별 이용 횟수 제한 없이 매주 월요일마다 최대 17% 추가 할인을 받을 수 있는 간편결제 서비스다. 하지만 하지만 코로나19로 하늘길 자체가 막히면서 더 이상의 혜택 강화보다는 기존의 이벤트를 유지한다는 방침이다.
신세계면세점은 이벤트 혜택대신 브랜드 할인을 시행했다. 신세계면세점 관계자는 “이벤트 혜택보다는 브랜드 할인을 조금 더 강화했다”며 “브랜드별로 할인율은 상이하다”고 전했다. 또 “다만 브랜드 할인율을 높여도 매출액 차이에 큰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덧붙였다. 현재 신세계면세점은 ‘봄맞이 시계·주얼리 통합 할인전’, 메트로시티·아모레퍼시픽 등 뷰티 브랜드와 패션 브랜드 할인 이벤트를 진행 중에 있다.
한편 한국면세점협회가 27일 국내 면세점 2월 매출은 22월 국내 면세점 매출액이 1조1,026억 원으로 전월대비 45.5%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이 추세를 이어가면 3월 매출 하락폭은 더욱 커질 것이란 전망이다. 사실상 공항면세점과 시내면세점 모두 ‘셧다운’ 상태에 돌입하면서 속절없이 매출 하락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주)티알앤디에프뉴스.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전체댓글수 0
[초점] 면세점 송객수수료, 2022년 7조 원 넘게 퍼줘
[분석] 면세점 대량판매, 영업이익에 극도로 부정적인 영향 끼쳐
TFWA 칸느 행사(10.24~28), 듀프리·카타르 듀티프리 등 참가
인천공항, 9월 ‘샤넬’·‘롤렉스’ 면세점 매장 오픈
[분석] 면세점 7월 매출액 1조3,167억 원으로 또 떨어져
[분석] 면세점 6월 매출액 1조3,479억 원으로 전월대비 14.1%↓